unity learn 15

5단원 - 사용자 인터페이스 : TextMeshPro

TextMeshPro 시스템 Unity에서 제공하는 고품질 텍스트 렌더링 시스템입니다. 일반적인 텍스트 렌더링 기능을 뛰어넘어, 벡터 기반 텍스트 렌더링을 지원하여 고해상도 및 세부적인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합니다. Text(TMP) 게임 오브젝트TextMeshPro의 UI 컴포넌트를 나타내는 게임 오브젝트입니다. 이 게임 오브젝트는 TextMeshPro를 사용하여 화면에 텍스트를 표시하는 UI 요소로, Canvas 내에서 UI 텍스트를 렌더링하는 데 사용됩니다.이 게임 오브젝트는 TextMeshProUGUI 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스타일링할 수 있습니다. TextMeshPro - Text(UI) 컴포넌트 Unity에서 고품질 텍스트 렌더링을 제공하는 중요한 컴포넌..

5단원 - 사용자 인터페이스 : OnMouseDown()

OnMouseDown() 함수마우스 클릭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MonoBehaviour 메서드입니다. 이 함수는 특정 오브젝트를 클릭했을 때 자동으로 호출됩니다. 기본 동작**OnMouseDown()**은 Collider가 포함된 GameObject에 추가된 스크립트에서 동작합니다.오브젝트 위에서 마우스 버튼을 누를 때 호출됩니다.기본적으로 왼쪽 마우스 버튼을 감지합니다.사용 조건Collider가 필수: OnMouseDown()이 작동하려면 GameObject에 Collider 또는 Collider2D가 있어야 합니다.카메라 설정: 오브젝트가 카메라의 시야에 있어야 하고, 클릭이 해당 오브젝트에 닿아야 합니다.스크립트: OnMouseDown()을 포함한 스크립트가 GameObject에 추가되어..

4단원 - 게임 플레이 메카닉 : 프로젝트 최종 완성

Unity Learn, 주니어 프로그래머의 4단원 - 게임 플레이 메카닉 프로젝트를 완성했습니다. 기본 조작W,S 키로 Player 공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. (혹은 위, 아래 방향키)A,D 키로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. (혹은 오른쪽, 왼쪽 방향키)기본 규칙적대적 공을 밖으로 밀치면 다음 웨이브로 넘어감웨이브 수만큼 적대적 공 랜덤 스폰적대적 공는 Player 공을 향해 천천히 다가옴PowerUp 아이템이 웨이브마다 1개씩 랜덤 스폰PowerUp 아이템을 Player 공이 닿으면 7초동안 Player가 PowerUp상태가 됨PowerUp 상태 : Player공과 적대적 공이 부딪히면 적대적 공을 매우 강하게 튕겨냄게임의 완성도를 위해서 Unity Learn에서 안내한 규칙에서 좀 더 보완했습니다...

4단원 - 게임 플레이 메카닉 : FindObjectsOfType<>()

FindObjectsOfType() 함수 Unity에서 사용되는 정적(static) 함수로, 현재 씬에 있는 모든 특정 타입의 객체를 검색하여 반환함 FindObjectsOfType의 기본 형태FindObjectsOfType(); 매개변수Type: 찾고자 하는 컴포넌트의 타입입니다. 예를 들어, Transform, Rigidbody, Collider 등 Unity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 타입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 객체에 적용된 스크립트 또한 적용할 수 있습니다.반환 값반환 값은 타입에 맞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배열입니다. 반환된 배열에는 씬 내에서 해당 타입을 가진 모든 컴포넌트가 포함됩니다.사용 예시이 예제에서는 씬에 있는 모든 Rigidbody 컴포넌트를 찾아서 그 이름을 출력합니다.FindObje..

4단원 - 게임 플레이 메카닉 : 코루틴

코루틴 IEnumerator 타입을 반환하는 함수. 그 안에서 yield 구문을 사용하여 함수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음. 코루틴은 한 번에 끝내는 것이 아니라, yield return 문을 만나면 잠시 멈추고,주어진 조건이 만족되면 다시 실행을 이어   갑니다. 사용 예시설명IEnumerator Start(): 이 함수는 IEnumerator를 반환하는 코루틴 함수입니다. Start()가 호출되면 코루틴이 시작됩니다.yield return new WaitForSeconds(3): 이 코드는 3초 동안 대기하도록 합니다. 이때, yield 키워드로 함수의 실행을 잠시 멈추고,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실행을 이어갑니다.StartCoroutine(): Unity에서 코루틴을 실행하려면 StartCor..